top of page

1. 행동 개선을 위한 개입의 효과성 증명

2.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의 사용

1. 사회적으로 의미있는

2. 실제 적용 가능한

1. 환경 안에서 사람이 행하는 모든 것

2. 관찰과 측정이 가능한 것

캣츠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응용행동분석 Applied Behavior Analysis; ABA 을 근거로 합니다. 

ABA는 인간의 행동, 특히 삶에 적응하는데에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행동을 연구하는 과학적인 방법입니다. 

ABA는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할 수 있으며 특히 발달이 지연된 사람들의 행동 문제를 개선하는데 효과를 보여왔습니다.

ABA는 다음의 특성들을 갖고 있습니다. 

응용적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사회적으로 의미있는 행동을 다룹니다. 

예를 들어 5세의 자폐스펙트럼 진단을 받은 아동에게는 커피를 타는 일보다 세발 자전거를 타도록 가르치는 것이 더욱 의미있는 일이 될 것입니다. 그러나 20세의 발달장애를 가진 청년에게는 커피를 타는 일을 가르치는 것이 직업을 갖도록 돕는데에 더욱 의미있는 학습이 될 수 있습니다. 

개념적으로 체계적

기본적인 행동의 법칙을 따릅니다.

 

법칙에서 도출된 개입방법은 체계적이므로 쉽게 배우거나 가르칠 수 있습니다.

특정한 상황에서 이루어진 어떤 행동에 뒤이어 긍정적인 자극 또는 원하는 자극이 주어지면 그 행동은 이후 비슷한 상황에서 다시 발생할 가능성이 증가합니다. 이러한 행동법칙을 '강화'라고 합니다. 아기가 배가 고픈 상황에서 우는 행동을 하면 엄마가 젖병을 물려주고 이후 아기는 배가 고플 때마다 울기를 반복하여 원하는 것을 얻게 됩니다. 이에 아기의 우는 행동은 젖병을 얻음으로써 강화되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사람의 행동에는 다양한 법칙이 존재하며 ABA에서는 행동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러한 체계적인 법칙을 이용합니다. 

행동적

환경 안에서 이루어지는 중요한 행동을 다룹니다.

 

​관찰과 측정이 가능한 행동을 선택합니다.

사회성, 공격성, 우울감 등은 관찰하거나 측정할 수 있는 행동이 아닙니다.  ABA에서는 이러한 상위의 특성을 '사회성: 만났을 때 인사하기, 놀이를 함께 하자고 청하기, 장난감 공유하기', '공격성: 타인의 신체를 발로 차기, 꼬집기, 손으로 때리기', '우울감: 울기, 징징대기, 지시에 따르지 않기' 등과 같은 구체적인 행동으로 정의내리고 이러한 행동의 변화를 치료 목표로 계획합니다. 

효과적

개입이 진행되는 환경뿐 아니라 실제 생활 환경에서 행동의 변화가 나타나야 합니다.  

한 아동이 치료실 안에서 아무런 문제행동도 보이지 않고 치료사의 지시를 즉각적으로 잘 따르는 정도의 진전을 보였다고 하더라도 가정에서 여전히 엄마의 지시에 잘 따르지 않고 울거나 도망치는 등의 행동을 지속적으로 보이고 있다면 치료가 효과적이라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치료는 아동이 가정, 학교 등에서도 동일하게 변화된 행동을 보이고 지속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만 합니다. 

분석적

행동의 개선과 적용한 개입 방법 간에 직접 관계가 있는지 과학적인 방법을 통해 밝힙니다.

예를 들어 4세 여아의 소리지르기 행동을 기능 분석한 결과 엄마의 관심을 끌기 위한 기능으로 유지되어 온 것으로 밝혀졌다면 엄마가 아이의 소리지르기는 철저히 무시하고 '엄마'라고 부르는 소리에만 반응을 해주기로 하는 개입을 계획합니다. 치료사와 엄마는 개입 전 5일 간의 소리지르기 횟수와 개입을 진행하는 동안의 행동 횟수 등을 모두 기록합니다. 아이의 소리지르기 행동이 개입 전과 비교하여 분명하게 감소하는 양상을 보인다면 문제행동과 개입 간의 관계가 분명히 존재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아이의 소리지르기가 어린이집에서도 동일하게 발생하고 같은 기능을 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면 동일한 개입 방법을 사용하여 같은 결과가 나타나기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일반성

행동의 변화는 지속되어야 합니다.

 

새로운 환경에서도 변화된 행동이 유지되어야 합니다. 

 

개입하지 않은 행동에도 영향을 미쳐 향상 될 수 있어야 합니다. 

치료사가 아동이 생활하는 모든 환경에 지속적으로 함께 하며 행동을 개선하고 유지하도록 돕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행동의 변화가 최대한 오랜 시간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직접 개입하지 않은 환경에서도 변화된 행동이 나타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중요한 과정입니다. 지시어, 지시자 등을 최대한 다양하게 변화시키거나 생활환경과 유사한 상황을 구성하고 그 안에서 연습하는 것이 좋은 방법일 수 있습니다. 또한 자기 관리의 방법을 가르치는 것도 일반화를 이루는데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기술적

개입의 실행절차가 구체적이고 분명하게 기록됩니다.

 

따라서 효과적인 개입은 동일하게 반복될 수 있고 쉽게 배우거나 가르칠 수 있습니다.

6세 남아에게 지시따르기 훈련을 시행한다고 하였을 때 치료 계획서에는 치료 장소, 지시자, 지시하는 횟수, 지시의 목록, 필요한 물품 등을 기록할 뿐만 아니라 지시를 따른 것으로 볼 수 있는 행동의 기준, 지시의 횟수 또는 지시의 시간을 증가시키는 기준 등을 정확히 명시해야 합니다. 또한 훈련 중 발생하는 자리 이탈하기, 울기, 공격행동 등에 대해 어떻게 대처해야할지까지 모두 기록되어야 합니다.

캣츠는 응용행동분석 Applied Behavior Analysis에서 연구된 근거기반개입을 사용합니다.

 

 

근거기반개입   Evidence-Based Practices

자폐스펙트럼(Autism Spectrum Disorder) 진단을 받은 사람들의 문제행동을 개선하고 적응적인 행동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밝혀진 개입 방법들

2015년 미국의 The National Professional Development Center on Autism Spectrum Disorder(NPDC on ASD)는 근거기반개입에 관한 논문을 발표하였습니다.

 

이들은 1990년부터 2011년까지 발표된 29,105건의 논문들 중 일정 기준에 부합하는 456건의 논문을 최종 검토하였습니다. 456건의 논문들은 출생 직후부터 22세까지의 자폐스펙트럼을 가진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들의 문제행동을 개선하고 발달을 증진시키며 학업적인 성취를 이루도록 한 다양한 개입 방법들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The NPDC는 그 연구들 중 다음의 기준에 부합하는 것들을 효과적인 개입 방법으로 분류하였습니다.  ​

 

1. 서로 다른 두 연구팀에 의해 이루어진 높은 수준의 실험적 혹은 실험적 설계와 유사한 연구 두 건에서 효과가 증명된 방법  또는 

2. 서로 다른 세 연구팀에 의해 이루어진 최소 20명의 연구대상자에 대한 높은 수준의 개별사례연구 다섯 건에서 효과가 증명된 방법  또는

3. 높은 수준의 실험적 혹은 실험적 설계와 유사한 연구 한 건과 하나 이상의 연구팀에 의해 이루어진 높은 수준의 개별사례연구 세 건에서 효과가 증명된 방법​

 

이러한 기준에 부합한 개입 방법은 다음의 27가지였습니다. ​

* 위 방법의 대다수는 응용행동분석에서 연구한 행동의 법칙에 근거한 것들입니다.  

 

* 캣츠는 전문가의 역량에 따라 개입목표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방법을 선별적으로 사용합니다. 

 

참조) http://autismpdc.fpg.unc.edu

 참조)

Connie Wong, Samuel L. Odom, Kara A. Hume, Ann W. Cox, Angel Fettig, Suzanne Kucharczyk, Matthew E. Brock, Joshua B. Plavnick, Veronica P. Fleury, Tia R. Schultz(2015). Evidence-Based Practices for Children, Youth, and Young Adul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 Comprehensive Review.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July 2015, Volume 45, Issue 7, pp 1951–1966.

캣츠아동행동연구소

대표자. 신지명  조연진  사업자등록번호. 393-94-00518

전화번호. 02-414-9006    팩스. 02-414-9007   

E-mail. cats@catsaba.com

주소.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고양대로 1772(삼송동 348) 새움빌딩 4층

bottom of page